핵심 요약
카테노이드가 AV1, H.265 트랜스코딩 테스트를 통해 낮은 비트레이트에서도 높은 화질을 실현하는 코덱의 차이를 VMAF로 비교 분석했습니다.
구현 방법
- 500kbps 및 1200kbps 조건에서 두 영상(댄스 영상, 온라인 강의)을 H.264(libx264), H.265(hevc_nvenc), AV1(av1_nvenc)로 재인코딩하고 성능을 비교
- VMAF 기반 평가를 위해 Netflix의 VMAF 및 FFMetrics/libvmaf 도구를 활용
- 댄스 영상의 다이나믹함으로 AV1의 이점이 더 크고, 온라인 강의의 정적 영상은 코덱 간 차이가 작았음을 관찰
주요 결과
- 500kbps에서 libx264 대비 av1_nvenc의 VMAF 점수는 32점 대 64점으로 큰 차이를 보임
- 온라인 강의 영상은 500kbps/1200kbps에서 각각 76점/85점으로 AV1의 이득 차이가 약 9점으로 나타남
- 영상의 움직임 차이가 코덱 효율 차이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결론에 도달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