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oait
홈인기 피드모든 블로그모든 태그
홈인기 피드모든 블로그모든 태그

도메인 주도 설계와 모델 주도 설계 도입하기 - 정산편

타다 favicon타다·Architecture·
KotlinDomain Driven DesignModel Driven Design
2022년 10월 07일0

AI 요약

이 글은 AI가 요약했어요. 정확한 내용은 꼭 원문을 확인해 주세요!

핵심 요약

타다의 정산 도메인에 DDD와 MDD를 적용해 도메인 내부의 복잡도와 데이터 의존성을 정리하고, SettlementDivision과 SettlementDistribution를 중심으로 새 모델을 설계해 구현을 대폭 단순화한 사례를 공유합니다.

주요 경험

  • 도메인 전문가와의 긴밀한 협업으로 SettlementDivision/SettlementDistribution를 도출하고 도메인 모델을 정교화했습니다.
  • SettlementEntries와 SettlementContract의 결합도를 낮추고 책임을 명확히 하여 구현의 응집도와 확장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.
  • 메인 함수는 약 150줄에서 약 20줄로 축소되었고 흐름은 division → distribution → 정산 요청으로 재구성되었습니다.

얻은 인사이트

  • 모델 중심 설계가 도메인 전문가와 개발자 간의 의사소통을 크게 개선했습니다.
  • 로직을 분리된 객체로 모듈화하면서 변경에 대한 영향 범위를 최소화했습니다.
  • 정합성 오류 0건으로 프로젝트의 신뢰성과 유지보수성 향상을 확인했습니다.

연관 피드

%가 높을수록 이 글과 비슷할 가능성이 높아요!
매출(정산) Domain Design part.2 섬네일
76%

매출(정산) Domain Design part.2

잡코리아 favicon잡코리아·2025년 08월 18일
ㄷㄷㄷ: Domain Driven Design과 적용 사례 공유 / if(kakao)2022 섬네일
73%

ㄷㄷㄷ: Domain Driven Design과 적용 사례 공유 / if(kakao)2022

카카오엔터테인먼트 favicon카카오엔터테인먼트·2022년 12월 09일
멀티모듈 프로젝트, 왜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할까? 섬네일
70%

멀티모듈 프로젝트, 왜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할까?

여기어때 favicon여기어때·2025년 10월 17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