핵심 요약
타다가 Redux와 Context, Hook를 활용한 글로벌 상태 관리 경계 재정립과 페이지 단위 관리 원칙을 정착한 경험을 공유합니다.
주요 경험
- 전역 상태와 로컬 상태의 경계 설정 및 page 단위 컨테이너 사용의 한계를 파악
- HOC/Render Props에서 Hook으로 전환하며 상태 공유를 컴포넌트 간 효율적으로 구현
- Redux Devtools로 디버깅 편의성과 버그 추적의 용이성을 확인
얻은 인사이트
- 상태 관리 경계의 명확화가 팀 협업과 코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
- 로직 재사용은 Hook으로 가능하나 경계 정의와 문서화가 중요하다
- 초기 도입의 보일러플레이트 문제를 극복하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
